재신경치료 기간 신경치료 했던 이가 좋지않아 병원을 방문했고 대학병원 외에는 모두 임플란트를
재신경치료 기간

신경치료 했던 이가 좋지않아 병원을 방문했고 대학병원 외에는 모두 임플란트를 권하여 대학병원에서 작년 7월 쯤 방문하여 4차례 예약해주셨고 4개월 기다려서 11월~12월 초까지 4차례 치료를 받았습니다. 문제는 4번안에 치료가 끝나지 않았고 병원에 예약이 많아 그 다음 치료로 새로 예약을 잡은게 2월 중순입니다. 신경치료 도중에 2개월 넘게 방치해도 되지는지도 모르겠고 2개월 간 임시충전재로 막아놓고 있어도 지장 없는 건지 무섭습니다. 한달이 넘어가는 시점인데 임시충전재가 생각보다 쉽게 갈리는게 보입니다. 방치했다가 괜히 잘못되어서 치료기간이 또 2 3개월 늘어날까봐 걱정됩니다. 대학병원이라 교수님과의 소통도 쉽지않구요. 애초에 4개월 기다려서 병원 일정대로 치료 시작했는데 왜 병원에서 치료를 못 끝내놓고 예약 때문에 치료에 차질이 생기고 더 밀릴걸 고민하고 있어야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. 저대로 2개월 방치했을 때 부작용이나 제가 조심할 부분이 있을까요? 원래 대학병원에선 이런 상황이 자주 나오나요?
신경치료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의 방문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일 수 있으며, 치료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 아래는 당신의 상황에 대한 몇 가지 정보와 조언입니다.
감염 위험: 신경치료 중 임시충전재로 막아놓은 상태에서 방치하면,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통증을 유발하고,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치아 손상: 임시충전재가 쉽게 갈라지거나 떨어질 경우, 치아 내부가 노출되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치료 지연: 치료가 지연되면, 원래의 문제(예: 염증, 감염 등)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.
통증 및 불편감: 통증이 심해지거나 불편감이 느껴지면 즉시 병원에 연락하여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.
임시충전재 상태 확인: 임시충전재가 갈라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, 문제가 발생하면 병원에 연락하세요.
구강 위생 관리: 치료 중인 치아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고,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세요.
대학병원은 종종 예약이 많고, 여러 환자를 동시에 치료해야 하므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. 이는 일반적인 상황이지만, 환자의 치료가 지연되는 것은 불편할 수 있습니다.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렵다면, 간호사나 다른 의료진에게 문의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현재 상태에서 2개월 동안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,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 대학병원에서의 치료 지연은 종종 발생할 수 있지만, 환자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므로,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이나 클리닉에서 상담을 받는 것도 고려해보세요.